- Product Design
소셜 로그인, 전환율에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글로벌 라프텔의 소셜 로그인 도입 후기
2025.06.27
많은 디지털 서비스가 소셜 로그인을 통해 빠르고 간편한 가입 경험을 제공하고 있어요. 그런데 실제로 이 기능이 회원가입 전환율에 얼마나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글로벌 라프텔이 소셜 로그인 기능을 도입하게 된 배경과, 기능을 배포한 이후 실제로 회원가입 전환율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함께 살펴보려고 해요.
소셜 로그인 도입 배경
글로벌 라프텔은 신규 가입자에게 광고 없이 애니메이션을 감상할 수 있는 재화를 지급하고 있어요. 그래서 앱에 처음 진입했을 때나, 비로그인 상태로 앱을 사용할 때에도 이런 혜택을 명확하게 안내하고 있었죠.
글로벌 라프텔의 가입 유도 지점
하지만 이렇게 혜택 중심으로 회원가입을 유도하는 구조는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원가입 전환율은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이었어요.
특히 많은 사용자가 앱 설치 이후 가입하지 않은 채 종료하거나 삭제하는 모습이 반복적으로 관찰되었는데요, 이러한 사용자 이탈을 분석하면서 저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게 되었어요.
🤔
"혜택과 가입 유도 구조는 충분하며, 문제는 유저가 느끼는 진입 허들이다."
즉, 혜택 부족이 아니라 가입까지의 허들이 너무 높았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MVP 단계에서는 제외했던 소셜 로그인 기능의 도입 필요성을 다시 검토하게 되었답니다.
보다 더 간편하게
글로벌 라프텔의 이메일 회원가입 프로세스는 국내에 비해 간소화된 편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퍼널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유저 이탈은 피할 수 없었어요.
하지만 소셜 로그인을 도입하면 보다 간편한 절차로 사용자를 회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원가입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들일 고민과 리소스를 더 효과적인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였습니다.
기존 이메일 회원가입 프로세스와 퍼널별 잔존 비율
소셜 로그인 프로세스
두근거리는 애니메이션의 세계로
이번에 도입되는 소셜 로그인은 전환율 개선을 위한 실험의 일환으로, 새로운 로그인 수단 추가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변화 이상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저 경험을 고려하였어요.
따라서, 가입/로그인 화면에는 단순한 선택 창 대신 애니메이션 하이라이트 영상을 포함해 서비스의 분위기와 매력을 직관적으로 전달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기대감과 설렘이 자연스럽게 가입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하였습니다.
로그인/회원가입 첫 화면 (As-Is, To-Be)
회원가입 전환율 개선은 성공적!
소셜 로그인 기능을 배포한 이후 가입 혜택과 로그인 유도 지점의 변화 없이도 회원가입 전환율이 기존 전환율 대비 약 16.9%p 상승하였어요.
다만, 추가로 살펴본 회원가입 이후 유료 유저로 전환되는 수에는 크게 의미 있는 변화를 찾을 수는 없었답니다. 따라서, 회원가입 이후에 유료 유저로 전환될 수 있도록 콘텐츠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은 또 다른 과제로 남게 되었네요. 🤔
배포 이전&이후 주간 회원가입 전환율 비교
소셜 로그인, 얼마나 사용할까?
글로벌 라프텔에서의 소셜 로그인 기능이 유저들에게 안정적으로 배포되고 난 이후, 신규 가입자 기준 약 95.5% 이상이 소셜 로그인 방식을 선택하고 있었으며, 이메일을 선택한 유저는 약 4.5%에 머물렀어요.
국내에서 서비스 중인 라프텔에서는 이메일 가입 과정이 글로벌 대비 더 복잡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약 17%의 유저가 이메일 로그인을 선택하고 있음을 생각해 보면, 국내와 글로벌 유저 특성에서 두드러지는 차이를 보였어요.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소셜 로그인을 ‘선택지’가 아닌 사실상 기본값처럼 인식하고 있다는 것과 더불어, 이런 경향이 글로벌에서는 더욱 심화되어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배포 2주차 이후 신규 회원가입 유저의 로그인 수단별 선택 비율
결론
혜택이 아무리 분명하더라도, 진입 과정이 불편하다면 유저는 이탈해요. 반대로 진입이 간단해지면, 혜택 구조는 그대로 두더라도 더 많은 유저가 행동으로 옮긴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어요.
💡
“소셜 로그인은 단순한 편의 기능이 아니라, 유저 행동을 결정짓는 UX의 핵심 요소다”
마치며
현재 운영 중인 서비스가 아직 소셜 로그인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간편 로그인 지원 하나만으로도 즉각적이고 실질적인 가입 전환율 개선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거에요. 특히 저희처럼 MVP 단계에서 핵심 기능 구현에 집중하느라 로그인 플로우를 단순화했던 팀이라면, 간편 로그인 도입을 진지하게 고려해 보길 추천드릴게요.
그리고 이번 실험에서 얻은 핵심 인사이트는, 반드시 소셜 로그인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에요. 혜택이 충분한데도 전환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혜택을 개선하기보다, 유저가 느끼는 허들이 어느 단계에서 발생하고 있는지 점검해보는 게 어떨까요?